지형 편집

2025-11-08
#JAVA#프로그래머스
2

문제 풀이 시간 : 38분

문제 요약

  • 게임 지형은 각 칸마다 정수 높이를 가지고 있음

  • 목표 : 모든 칸의 높이를 동일하게 만들기

  • 블록 1개를 쌓는 비용 = P

  • 블록 1개를 제거하는 비용 = Q

  • 최종적으로 모든 칸의 높이가 같아지도록 할 때 필요한 최소 비용을 구하는 문제

문제 풀이

처음 보자마자

모든 칸의 높이를 하나씩 골라가며 계산하면 답이 나오긴 하겠지만,

높이 값이 0 ~ 10억 범위이기 때문에 단순 완전탐색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다는 걸 바로 알 수 있었다.

그래서 “이분 탐색으로 풀 수 있지 않을까?”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,

문제는 어떤 로직으로 이분 탐색을 적용할 것인가였다.


이분탐색을 어떻게 적용할까

예시로 주어진 지형을 가지고

모든 목표 높이 H에 대해 비용을 직접 계산해보면

흥미롭게도 비용이 V자 모양으로 변한다는 걸 알 수 있었다.

즉,

  • 목표 높이를 너무 낮게 잡으면

    높은 칸들을 많이 깎아야 해서 비용 증가

  • 목표 높이를 너무 높게 잡으면

    낮은 칸들을 많이 쌓아야 해서 비용 증가

  • 둘 사이 어딘가에서 비용이 최소


왜 V(접시) 모양이 되는가?

핵심은 간단하다.

H가 작을수록 → (H보다 높은 칸이 많아짐) → 제거 비용 커짐

즉,

너무 낮아도 비싸고, 너무 높아도 비싸다

그래서 H가 한쪽으로 치우칠수록 비용이 증가하고,

결국 가운데 어딘가에서 최소가 생긴다.

각 칸마다

  • H보다 낮으면 → (H - 높이) × 추가비용 P

  • H보다 높으면 → (높이 - H) × 제거비용 Q

이 작업이 모두 선형이기 때문에 각 칸은 “V자” 형태 비용을 만들고 전체 비용은 이 V자들의 합 → 결국 볼록(convex) 이 된다.

그래서 최소값은 반드시 한 지점에만 존재한다.

따라서 나는 이분탐색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짰다.


이 문제는 “mid가 정답인가?” 를 확인하는 방식이 아니다.

대신

mid 기준으로 → 어느 방향에 최소가 있는지를 판단

즉,

  • cost(mid) <= cost(mid+1)

    → 오른쪽으로 가면 비용이 오름

    → 최소는 mid 이하 범위

  • cost(mid) > cost(mid+1)

    → 왼쪽보다 오른쪽이 더 싸다

    → 최소는 mid+1 이상 범위

이 원리로 범위를 줄여 나가면 결국 left == right 에 도달하고 그 값이 최솟값을 만드는 H 가 된다.


최종 코드

Java
public class Solution { public int[][] land; public int P,Q,n; public long answer = Long.MAX_VALUE; public long cost(long mid){ long temp = 0; for(int i=0;i<n;i++){ for(int j=0;j<n;j++){ if(mid>land[i][j]){ temp += (mid-land[i][j])*P; } else{ temp += (land[i][j]-mid)*Q; } } } return temp; } public long solution(int[][] land, int P, int Q) { n = land.length; this.land = land; this.P = P; this.Q = Q; long right = 0; long left = Long.MAX_VALUE; for(int i=0;i<n;i++){ for(int j=0;j<n;j++){ right = Math.max(right, land[i][j]); left = Math.min(left, land[i][j]); } } while(left < right){ long mid = (left + right) / 2; long c1 = cost(mid); long c2 = cost(mid + 1); if(c1 <= c2) { right = mid; } else { left = mid + 1; } } return cost(right); } }